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9)
2024년 바바이 이제 2년차가 되었다. 지금까지 한 걸 2번만 더하면 졸업할 수 있다 (hopefully...). 미국이 한국보다 편해진 거 같다. 아마 미국에 있으면 거의 집 밖에 안나가서 그런 것 같다.올해에는 학교에서 한 연구를 NeurIPS에 내고 인턴십에서 한 걸 ICLR에 냈다. 인턴십을 다행히 잘 끝냈는데 운이 좋았다. 거의 접을 뻔 했는데 피츠버그 돌아와서 다행히 되게 만들었다. 회사나 학교에서 연구를 하면서 정말 똑똑한 사람들을 많이 만날 수 있어서 운이 좋았던 것 같고 미국에 오기를 잘했다는 생각이 든다. 이제 내가 좀 하나? 라는 생각이 들 때 마다 뛰어난 사람들이 화이트보드에 자기 기량을 보여주면서 나에게 자기 객관화를 시켜줘서 계속 더 열심히 할 수 있는 것 같다. 내년에도 똑똑한 사람들이랑 많이..
Simplicity bias Natural science를 하는 사람들이 한 때 자연의 본질은 단순할 것이라고 믿었던 때가 있었다. 그런데 사실 이런 믿음에는 근거가 없다. 인류가 지금까지 알아낸 자연이 동작하는 방식은 내 눈에는 그다지 직관적이지 않다. 리처드 파인만은 자연이 행동하는 방식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당신의 직관대로 행동하는 다른 우주로 떠나라고 했다. 생각해보면 사람의 직관은 원시 인류의 생존에 최적화되어 진화해 온것이고, intuitive physics 정도만 이해하도록 진화했을 것이다. 예컨데 우주가 미시적인 레벨에서 행동하는 방식이 우리가 이해하기 쉬워야 할 이유가 없다. 그런 직관을 가진 개체는 오히려 뇌의 에너지를 불필요하게 낭비해서 생존에 더 불리했을 것 같다.그런데, 자연 자체를 연구하는 자연 과학자들과..
연구 얘기 - Is novelty overrated? 논문을 쓴다는 것은 새로운 것을 남들에게 알리는 것이기 때문에, novelty가 생각보다 중요하지 않다고 말하는 것은 모순처럼 들릴 수도 있다. Novel하지 않으면 논문이 아니기 때문에 novelty는 중요한 게 맞다. 그런데 내가 생각하는 novelty는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에 대한 것이다. 똑같은 문제라도 새로운 방식으로 바라보면 전혀 새로운 문제가 되기도 한다. 좋은 연구들은 문제를 바라보는 좋은 방식을 제안한다. 그런데 그 바라보는 방식이 정해지고 나면 이후의 풀이법은 너무 당연한 경우가 많은 것 같다. 여기서 당연하다는 것은 trivial하다는 게 아니라 자연스럽다는 의미이다. 그 방식으로 문제를 바라보는 방법을 깨닫고 나면 나라도 (뿐만 아니라 누구라도) 그렇게 풀었을 것 같다고 느껴질 만큼..